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유소에서 기름냄새가 난다구요?(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폐가전 어떻게 버리시나요? "환경성보장제(EcoAS)"란?

🌱 환경성보장제(EcoAS)란? 

전자제품·자동차 재활용을 위한 미래 준비 제도

ecoas


환경성보장제(EcoAS)는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이 잘 되도록 설계부터 폐기까지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단순한 분리배출을 넘어서 제조 단계부터 유해물질을 줄이고, 해체·분리·재활용이 용이한 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합니다. 쉽게 말해, “만드는 순간부터 버릴 때까지 환경을 생각하는 체계”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왜 중요한가요?

  • 📺 TV·냉장고 등 전자제품, 🚗 자동차는 자주 바뀌고 폐기되지만, 중금속, 플라스틱, 배터리 등 유해물질이 포함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 재활용이 쉬운 제품은 자원 절약은 물론, 환경오염도 줄여줍니다.
  • 👨‍👩‍👧‍👦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한 기반이 되는 제도입니다.

🛠️ 어떤 제품이 대상인가요?

환경성보장제는 다음 제품을 대상으로 합니다.

📌 사전예방 : 환경유해성 최소화 설계

     📺 유해물질 사용제한 대상
     예) 자동차, 자동판매기, 제습기, 내비게이션, 스캐너, 빔프로젝터, 유무선공유기, 토스트기, 전기주전자, 전기온수기, 전기프라이팬, 헤어드라이어, 러닝머신, 감시카메라, 식품건조기, 전기안마기, 족욕기, 재봉틀, 영상게임기, 제빵기, 튀김기, 커피메이커, 약탕기, 탈수기 품목의 경우 2021년 1월1일부터 제도대상
     📺 자동차

📌 사후관리 : 환경친화적 회수, 재활용 촉진

     📺 전기전자제품(사후 19년 이전 27종, 사후 20년 이상 50종)

이 제품들은 환경부 고시로 지정되며, 매년 적용 대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요 의무는?

제조사 및 수입업체는 다음과 같은 의무를 집니다.

  • 환경성 평가 – 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 여부와 재활용 용이성 평가
  • 환경성 확인 – 환경기준 적합 여부 검토
  • 자료 제출 및 표시 – 환경성 정보 공개 및 제품 표시 의무
  • 폐기물 회수·재활용 – 폐제품 회수 체계 구축 및 실적 보고

👉 이러한 절차는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은?

  • 🔋 유해물질 걱정 없는 가전제품 사용 가능
  • 🚮 방치된 폐제품이 줄어들고 자원 재활용률 증가
  • 📱 폐가전 무상 방문수거 등 서비스 확대 (www.15990903.or.kr)
  • 🌏 자원절약 → 온실가스 저감 →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 어떻게 참여하면 되나요?

소비자는 환경성보장제 인증 제품을 선택하고, 폐제품은 올바르게 배출하는 것만으로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  폐제품 수거장소 확인

(https://www.re.or.kr/)

폐제품 수거위치


제조사는 제품 설계부터 유통, 폐기 단계까지 자원순환통합징수(https://portal.budamgum.or.kr)을 통해 관련 의무를 이행해야 합니다.


🔎 더 알아보기

  • 📘 관련 법령: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 📂 환경성보장제 종합정보: https://portal.budamgum.or.kr
  • 👥 제도 안내 영상·매뉴얼: 한국환경공단 EcoAS 공식 홍보물

✅ EcoAS는 단순한 인증을 넘어선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의 시작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참여해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를 만들어 가길 기대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안심인증 확인!(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 어린이집·유치원·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의무입니다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안내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할까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마시고, 바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어린이집, 유치원, 키즈카페 등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 제도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활동공간이란? 다음 시설이 해당됩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1~3학년)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키즈카페, 실내놀이터, 어린이학원, 실내수영장 등 ※ 해당 시설은 환경검사를 받고 결과를 지자체에 등록해야 합니다. 🧪 검사 항목 요약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벤젠, 톨루엔, 미세먼지(PM10, PM2.5), 이산화탄소 등 마감재 및 바닥재: 중금속(납, 카드뮴 등), 프탈레이트류 가소제 7종 놀이기구 및 장난감: 도료 중 금속, 플라스틱 장난감 내 가소제 함량 등 ※ 기준치를 초과하면 개선조치 → 재검사 → 결과보고 의무 가 있습니다. 📝 Q2. 새로 개설한 어린이집·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언제 하나요? 최초 검사 시점: 시설 개설 직후, 운영 전 에 실시해야 합니다. 검사 대상 항목: 실내공기질 + 마감재 및 놀이기구 등 시설 내 구성품 검사 기관: 환경부 인증 검사기관에 의뢰 (민간 검사기관) 제출 방법: 검사 완료 후 측정결과서를 시·군·구청에 제출 정기검사: 최초 검사 후 2~3년마다 정기적으로 재검사 필요 운영을 위한 인허가 절차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환경검사 결과’는 필수 첨부서류 로 간주됩니다. 🚨 검사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1차 위반 시: 개선명령 2차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가능 학부모 민원 시: 공개 요청 및 행정감사 대상이 될 수 있음 검사는...

층간소음 이렇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상담, 자가측정, 분쟁조정)

층간소음 이렇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윗집의 아이들 소리에 밤잠을 설치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환경부(한국환경공단)가 운영하는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를 중심으로 상담부터 측정, 추가 대처 방안까지 단계별 해결 절차를 알려드립니다. 1. 상담신청으로 시작하는 층간소음 해결 층간소음 문제 해결의 첫걸음은 ‘이웃사이센터’에 상담을 신청하는 것 입니다. 공식 사이트: floor.noiseinfo.or.kr 콜센터: 1661‑2642 (평일 09시~18시) 야간상담: 평일 18시~21시 (제주 제외) Self-해우소: 층간소음 교육 영상 제공 2024년 기준으로 연간 3만 3천 건 이상의 전화상담 이 접수될 정도로 많은 이웃들이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2. 측정신청·자가 측정으로 정확한 원인 파악 전화나 방문상담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소음 측정을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수음세대(피해자)가 신청 가능 측정은 최소 1시간 ~ 최대 24시간 진행 주말 측정 은 금~월 연속 측정 가능 자가 측정기 대여 도 가능합니다. 공동주택 관리주체가 신청 최대 6개월 무료 대여 실시간 참고용이며 법적 효력은 없음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웃과 객관적인 대화 를 나누기 쉽고, 중재 과정에서도 중요한 자료 로 쓰입니다. 3. 비공동주택과 분쟁조정까지 폭넓은 대응 다가구주택·오피스텔 등 비공동주택도 2025년부터 상담·측정 대상 에 포함됐습니다. 2025년: 수도권·광주 일부 지역 2026년: 전국 확대 예정 측정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법적 분쟁 조정 절차 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원회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 민사소송, 환경분쟁조정법, 공동주택관리법 활용 이처럼 객관적이고 단계적인 절차 를 통해 감정적인 갈등을 피하고 실질적인 해결로 이어갈 ...

우리집, 라돈 괜찮을까?

🏠 우리집은 라돈으로 부터 안전할까?  “라돈? 아직도 모르신다면 우리 집 실내공기를 점검할 때입니다.” 라돈은 무색·무취의 자연 방사성 물질로,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특히 겨울철, 환기가 어려운 지하·반지하 주택은 라돈 농도가 높아지기 쉽습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라돈 무료 측정 및 저감 지원 사업’ 을 운영하고 있어 누구나 신청만 하면 집 안의 라돈 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업 개요 목적: 라돈 위험으로부터 국민 건강 보호 기간: 2012년 ~ 현재 계속 주관기관: 환경부 수행기관: 한국환경공단 🏡 사업 대상 주택: 누리집(라돈안전 정보센터)에서 신청한 실내공간 (1,600가구) 마을회관 등: 라돈 고농도 지역의 경로당·회관 등 공공시설 (400개소) 💡 총 2,000개소에 무료 측정과 건강 컨설팅이 제공됩니다. 📋 사업 절차 요약 1차 측정 (자가 또는 방문) - 주택: 택배로 측정기 배송 후 자가 설치(90일 이상) - 마을회관 등: 공단에서 방문 측정 진행 결과보고서 제공 - 라돈 농도 수치와 건강 컨설팅 내용 포함 라돈 알람기 보급 (기준 초과 시) - 라돈 권고기준(148Bq/m³) 초과 시 알람기 무상 제공 저감시공 지원 (선정기준 충족 시) - 고농도 지역 중 선정 기준에 따라 시공 지원(100가구) 저감효과 재측정 및 종료 - 동일 방식으로 농도 비교 후 효과 분석 및 상담 종료 📦 무료 라돈 측정 신청 방법 라돈안전 정보센터 누리집 접속 상단 메뉴에서 “라돈 무료측정 신청” 클릭 주소, 연락처 등 입력 → 측정기 택배 수령 → 자가 설치 측정기 회수 후 결과 통보 및 필요 시 추가 조치 안내 📍 권고기준: 148Bq/m³ (약 4.0pCi/L) 이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