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유소에서 기름냄새가 난다구요?(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주유소에서 기름냄새가 난다구요?(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주유소에서 연료를 넣을 때 발생하는 유증기에는 인체에 해로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포함되어 있어, 대기오염과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됩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전국 주요 지역 주유소에는 유증기회수설비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설치 후에는 정기검사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우리동네 맑은 공기와 국민건강을 위한 유증기회수설비 설치의무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유소 유증기회수설비


유증기회수설비 설치 대상 주유소는 어디일까?

유증기회수설비 설치 의무는 모든 주유소가 아니라,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주유소에 적용됩니다.

1. 대기관리권역 및 특별대책지역 주유소
서울, 인천, 경기 대부분 지역과 함께 울산·여수 산업단지, 부산, 대전, 대구, 광주 등 대기오염 우려 지역의 주유소는 설치 의무가 있습니다.

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규제 지역 포함
청주시, 천안시, 전주시, 포항시, 창원시 등도 포함됩니다.

3. 연간 휘발유 판매량 기준에 따라 구분
- 2,000㎥ 이상: 2022년 4월 3일까지
- 1,000~2,000㎥: 2022년 12월 31일까지
- 300~1,000㎥: 2023년 12월 31일까지
- 300㎥ 미만: 초과 연도의 다음 해부터 2년 이내

이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한다면 해당 주유소는 StageⅠ, StageⅡ 유증기회수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회수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어떻게 점검할까?

설치 이후에는 유증기회수설비의 성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정기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검사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회수율 검사 (주유시설): 회수율 A/L 비율은 0.88~1.20 사이로 유지되어야 하며, 1년마다 검사해야 합니다.
  • 압력감쇄·누설 검사 (회수배관): 회수관 내 압력이 적정 범위(48~53 mmH₂O)인지 2년에 한 번 검사해야 합니다.
  • 회수배관 액체막힘 검사: 압력평형방식 설비에 한하며 배관 내 휘발유 막힘 여부를 확인합니다.

검사 대상 주유소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유증기회수설비 포털(https://www.vrs.or.kr/index.do)을 통해 검사 신청, 결과 조회, 운영 현황 확인 등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유증기회수설비를 설치하지 않으면 어떤 처벌을 받을까?

설치 및 점검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법적 처벌과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시설 개선 명령 미이행 시
  • 300만원 이하 벌금: 무신고 설치·운영, 방지시설 미설치 등
  • 200만원 이하 과태료: 검사 미이행, 검사 결과 미기록 시
  • 행정처분: 개선명령, 조업정지 10~20일 등 위반 횟수에 따라 처벌 수위가 증가합니다.

관련 규정을 위반하면 벌칙과 행정처분이 병행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검사기한과 결과기록 보존 의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결론: 국민 건강과 대기질 향상을 위한 필수 조치

유증기회수설비는 단순한 기술적 장치가 아니라, 국민 건강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한 사회적 안전장치입니다. 대기오염을 줄이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피해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며, 환경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리 하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유소 운영자라면 정기적인 점검과 기록 유지까지 포함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해야 할 것입니다.

👉 유증기회수설비 검사 신청 및 운영 현황 조회는 공식 포털에서 확인하세요:
https://www.vrs.or.kr/index.do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안심인증 확인!(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 어린이집·유치원·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의무입니다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안내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할까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마시고, 바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어린이집, 유치원, 키즈카페 등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 제도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활동공간이란? 다음 시설이 해당됩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1~3학년)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키즈카페, 실내놀이터, 어린이학원, 실내수영장 등 ※ 해당 시설은 환경검사를 받고 결과를 지자체에 등록해야 합니다. 🧪 검사 항목 요약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벤젠, 톨루엔, 미세먼지(PM10, PM2.5), 이산화탄소 등 마감재 및 바닥재: 중금속(납, 카드뮴 등), 프탈레이트류 가소제 7종 놀이기구 및 장난감: 도료 중 금속, 플라스틱 장난감 내 가소제 함량 등 ※ 기준치를 초과하면 개선조치 → 재검사 → 결과보고 의무 가 있습니다. 📝 Q2. 새로 개설한 어린이집·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언제 하나요? 최초 검사 시점: 시설 개설 직후, 운영 전 에 실시해야 합니다. 검사 대상 항목: 실내공기질 + 마감재 및 놀이기구 등 시설 내 구성품 검사 기관: 환경부 인증 검사기관에 의뢰 (민간 검사기관) 제출 방법: 검사 완료 후 측정결과서를 시·군·구청에 제출 정기검사: 최초 검사 후 2~3년마다 정기적으로 재검사 필요 운영을 위한 인허가 절차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환경검사 결과’는 필수 첨부서류 로 간주됩니다. 🚨 검사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1차 위반 시: 개선명령 2차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가능 학부모 민원 시: 공개 요청 및 행정감사 대상이 될 수 있음 검사는...

층간소음 이렇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상담, 자가측정, 분쟁조정)

층간소음 이렇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윗집의 아이들 소리에 밤잠을 설치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환경부(한국환경공단)가 운영하는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를 중심으로 상담부터 측정, 추가 대처 방안까지 단계별 해결 절차를 알려드립니다. 1. 상담신청으로 시작하는 층간소음 해결 층간소음 문제 해결의 첫걸음은 ‘이웃사이센터’에 상담을 신청하는 것 입니다. 공식 사이트: floor.noiseinfo.or.kr 콜센터: 1661‑2642 (평일 09시~18시) 야간상담: 평일 18시~21시 (제주 제외) Self-해우소: 층간소음 교육 영상 제공 2024년 기준으로 연간 3만 3천 건 이상의 전화상담 이 접수될 정도로 많은 이웃들이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2. 측정신청·자가 측정으로 정확한 원인 파악 전화나 방문상담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소음 측정을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수음세대(피해자)가 신청 가능 측정은 최소 1시간 ~ 최대 24시간 진행 주말 측정 은 금~월 연속 측정 가능 자가 측정기 대여 도 가능합니다. 공동주택 관리주체가 신청 최대 6개월 무료 대여 실시간 참고용이며 법적 효력은 없음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웃과 객관적인 대화 를 나누기 쉽고, 중재 과정에서도 중요한 자료 로 쓰입니다. 3. 비공동주택과 분쟁조정까지 폭넓은 대응 다가구주택·오피스텔 등 비공동주택도 2025년부터 상담·측정 대상 에 포함됐습니다. 2025년: 수도권·광주 일부 지역 2026년: 전국 확대 예정 측정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법적 분쟁 조정 절차 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원회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 민사소송, 환경분쟁조정법, 공동주택관리법 활용 이처럼 객관적이고 단계적인 절차 를 통해 감정적인 갈등을 피하고 실질적인 해결로 이어갈 ...

우리집, 라돈 괜찮을까?

🏠 우리집은 라돈으로 부터 안전할까?  “라돈? 아직도 모르신다면 우리 집 실내공기를 점검할 때입니다.” 라돈은 무색·무취의 자연 방사성 물질로,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특히 겨울철, 환기가 어려운 지하·반지하 주택은 라돈 농도가 높아지기 쉽습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라돈 무료 측정 및 저감 지원 사업’ 을 운영하고 있어 누구나 신청만 하면 집 안의 라돈 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업 개요 목적: 라돈 위험으로부터 국민 건강 보호 기간: 2012년 ~ 현재 계속 주관기관: 환경부 수행기관: 한국환경공단 🏡 사업 대상 주택: 누리집(라돈안전 정보센터)에서 신청한 실내공간 (1,600가구) 마을회관 등: 라돈 고농도 지역의 경로당·회관 등 공공시설 (400개소) 💡 총 2,000개소에 무료 측정과 건강 컨설팅이 제공됩니다. 📋 사업 절차 요약 1차 측정 (자가 또는 방문) - 주택: 택배로 측정기 배송 후 자가 설치(90일 이상) - 마을회관 등: 공단에서 방문 측정 진행 결과보고서 제공 - 라돈 농도 수치와 건강 컨설팅 내용 포함 라돈 알람기 보급 (기준 초과 시) - 라돈 권고기준(148Bq/m³) 초과 시 알람기 무상 제공 저감시공 지원 (선정기준 충족 시) - 고농도 지역 중 선정 기준에 따라 시공 지원(100가구) 저감효과 재측정 및 종료 - 동일 방식으로 농도 비교 후 효과 분석 및 상담 종료 📦 무료 라돈 측정 신청 방법 라돈안전 정보센터 누리집 접속 상단 메뉴에서 “라돈 무료측정 신청” 클릭 주소, 연락처 등 입력 → 측정기 택배 수령 → 자가 설치 측정기 회수 후 결과 통보 및 필요 시 추가 조치 안내 📍 권고기준: 148Bq/m³ (약 4.0pCi/L) 이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