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 테슬라 모델Y 주니퍼 구매기

미세먼지가 도로에서도 발생한다고?

🚘 도로 재비산먼지도 미세먼지 범인

도로재비산먼지 측정차량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엔 보이지 않는 적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도로 재비산먼지입니다. 차량 통행이 잦은 도심 도로 위에 쌓인 먼지가 차 바퀴와 브레이크, 바람 등에 의해 다시 공기 중으로 흩날리며 미세먼지(PM10)의 주요 발생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도로 재비산먼지란?

도로 재비산먼지는 도로에 침적된 먼지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대기 중으로 날리는 것을 말합니다. 주요 발생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 배기가스
  • 타이어 마모 입자
  • 브레이크 패드 마모 분진

☠️ 도로 재비산먼지의 유해성

  • 중금속(Cd, Pb, Cr) 등 유해성분 포함
  • 지름이 작아 코 점막을 거치지 않고 폐와 뇌까지 직접 침투
  • 호흡기 질환, 천식,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도로 재비산먼지 배출 현황

  • 비산먼지는 전체 PM10 배출량의 50.2%를 차지
  • 그 중 도로 재비산먼지 배출량은 40,379톤
  • 전체 비산먼지의 36.7%, 전체 미세먼지의 18.4%에 해당

📍 도로 재비산먼지, 어떻게 관리되고 있을까?

  • 노면청소차, 도로 살수차 운영 확대
  • 도로 포장 개선 및 분진 저감 포장재 도입
  • 비산먼지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도 실시간 측정

👉 도로별 비산먼지 농도, 지도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도로재비산먼지 정보시스템 (https://www.cleanroad.or.kr/map/dustMap.do)

도로재비산먼지지도

⚖️ 법적 근거로 본 도로 재비산먼지 관리

  •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8조: 측정·공개·조치 요청
  • 농도 200㎍/㎥ 초과 시 행정기관에 저감조치 요청
  • 측정 결과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고 환경부가 공식 공개

🌱 시민도 할 수 있는 미세먼지 줄이기

  • 공회전 줄이기
  • 세차 후 물기 닦기
  • 급가속·급정지 자제

💡 Q1. 도로 재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조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노면청소차, 물청소 장치, 도로 포장 개선, 분진 저감 도료 등이 있습니다.

💡 Q2. 농도가 200㎍/㎥를 넘으면 어떤 조치가 이뤄지나요?

환경부가 즉시 관련 기관에 조치를 요청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반드시 조치를 이행해야 합니다.

💡 Q3. 내 주변 도로의 오염 농도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도로 미세먼지 정보시스템(cleanroad.or.kr)에서 도로별 PM10 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로는 우리 일상의 일부입니다. 도로 위 미세먼지를 관리하는 것은 곧 우리의 건강을 지키는 일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안심인증 확인!(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 어린이집·유치원·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의무입니다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안내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할까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마시고, 바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어린이집, 유치원, 키즈카페 등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 제도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활동공간이란? 다음 시설이 해당됩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1~3학년)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키즈카페, 실내놀이터, 어린이학원, 실내수영장 등 ※ 해당 시설은 환경검사를 받고 결과를 지자체에 등록해야 합니다. 🧪 검사 항목 요약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벤젠, 톨루엔, 미세먼지(PM10, PM2.5), 이산화탄소 등 마감재 및 바닥재: 중금속(납, 카드뮴 등), 프탈레이트류 가소제 7종 놀이기구 및 장난감: 도료 중 금속, 플라스틱 장난감 내 가소제 함량 등 ※ 기준치를 초과하면 개선조치 → 재검사 → 결과보고 의무 가 있습니다. 📝 Q2. 새로 개설한 어린이집·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언제 하나요? 최초 검사 시점: 시설 개설 직후, 운영 전 에 실시해야 합니다. 검사 대상 항목: 실내공기질 + 마감재 및 놀이기구 등 시설 내 구성품 검사 기관: 환경부 인증 검사기관에 의뢰 (민간 검사기관) 제출 방법: 검사 완료 후 측정결과서를 시·군·구청에 제출 정기검사: 최초 검사 후 2~3년마다 정기적으로 재검사 필요 운영을 위한 인허가 절차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환경검사 결과’는 필수 첨부서류 로 간주됩니다. 🚨 검사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1차 위반 시: 개선명령 2차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가능 학부모 민원 시: 공개 요청 및 행정감사 대상이 될 수 있음 검사는...

#1 테슬라 모델Y 주니퍼 구매기

드디어 테슬라 모델Y 구매할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  타던 차가 오래되기도 하였고...환경인으로서 경유차를 계속 타고 있다는게 양심에 걸리기도 하고 장거리에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전기차, 테슬라 모델Y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테슬라 구매 절차, 보조금 신청 등의 일련의 과정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구매계약" 테슬라 홈페이지에서 차량-ModelY-주문하기로 들어갑니다 가성비로 후륜구동(RWD),  Stealth Grey, All Black 인테리어,  오토파일럿 을 선택하면,   견적가 52,990,000원! 계약금 500만원을 결재하고 주문을 합니다! (사실 롱레인지 선택했다가 취소하고 다시 주문했다가...white 인테리어 했다가 취소하고 다시 주문....) "인도 임박" 3/4분기에 접어들고, 보조금이 고갈된 지역이 여기저기 나오면서, 테슬라에서 연락이 옵니다. 지자체 보조금을 못받게 되더라도, 국고 보조금을 수령하여 인도를 희망하는지 설문을 요청합니다.  빨리 받고 싶은 마음에 지자체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어도 받겠다고 응답을 하고 기다렸습니다. "인도 일정 안내(셀프예약)" 광명 딜리버리 센터에서 인도하는 것으로 선택하고 셀프예약을 했습니다. 이제 테슬라 어드바이저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

녹색건축 인증제도, 친환경이 자산이 되는 시대

녹색건축 인증제도(G-SEED)는 단순히 친환경이라는 이미지를 넘어, 집을 짓고자 하는 예비건축주에게 비용 절감, 건강한 주거환경, 장기적인 자산 가치 상승 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비건축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녹색건축 인증의 절차, 비용절감 효과, 그리고 주택 가치 향상 방안을 쉽게 설명합니다. 인증절차: 예비인증과 본인증 이해하기 녹색건축 인증은 크게 예비인증 → 본인증 의 두 단계로 진행됩니다. 예비인증은 설계도서 단계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건축주가 계획한 건축물이 인증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사전에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설계 단계에서 친환경 요소를 반영할 수 있어, 건축 후 수정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본인증은 실제 건축물의 시공 및 사용승인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즉, 건축물이 완공된 이후 실질적인 성능과 친환경성이 평가되어 최종 등급이 부여됩니다. 녹색건축 인증은 일반, 우수, 우수+, 최우수 의 네 단계로 나뉘며,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의무적으로 인증 을 받아야 합니다. 비주거용의 경우도 연면적 3,000㎡ 이상의 공공업무시설 은 반드시 우수(그린2등급) 이상을 취득해야 합니다. 즉, 예비건축주가 처음부터 인증 절차를 고려해 설계와 자재 선택을 진행하면, 불필요한 재시공이나 비용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비용절감 효과: 장기적으로 유리한 선택 많은 건축주들이 녹색건축 인증을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과정’으로 생각합니다. 실제로 초기 단계에서는 고효율 단열재, 태양광 패널, 친환경 자재 등을 활용하면서 건축비가 다소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유지비 절감 효과가 훨씬 큽니다. 예를 들어, 고효율 단열재와 창호를 설치하면 난방비와 냉방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LED 조명과 고효율 기기를 도입하면 전기료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절감 효과는 매달 발생하는 관리비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장기적으로 보면 건축비 증가분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