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물을 아끼는 것의 의무라구요?(절수설비 설치의무제도)

미세먼지가 도로에서도 발생한다고?

🚘 도로 재비산먼지도 미세먼지 범인

도로재비산먼지 측정차량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엔 보이지 않는 적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도로 재비산먼지입니다. 차량 통행이 잦은 도심 도로 위에 쌓인 먼지가 차 바퀴와 브레이크, 바람 등에 의해 다시 공기 중으로 흩날리며 미세먼지(PM10)의 주요 발생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도로 재비산먼지란?

도로 재비산먼지는 도로에 침적된 먼지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대기 중으로 날리는 것을 말합니다. 주요 발생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 배기가스
  • 타이어 마모 입자
  • 브레이크 패드 마모 분진

☠️ 도로 재비산먼지의 유해성

  • 중금속(Cd, Pb, Cr) 등 유해성분 포함
  • 지름이 작아 코 점막을 거치지 않고 폐와 뇌까지 직접 침투
  • 호흡기 질환, 천식,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도로 재비산먼지 배출 현황

  • 비산먼지는 전체 PM10 배출량의 50.2%를 차지
  • 그 중 도로 재비산먼지 배출량은 40,379톤
  • 전체 비산먼지의 36.7%, 전체 미세먼지의 18.4%에 해당

📍 도로 재비산먼지, 어떻게 관리되고 있을까?

  • 노면청소차, 도로 살수차 운영 확대
  • 도로 포장 개선 및 분진 저감 포장재 도입
  • 비산먼지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도 실시간 측정

👉 도로별 비산먼지 농도, 지도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도로재비산먼지 정보시스템 (https://www.cleanroad.or.kr/map/dustMap.do)

도로재비산먼지지도

⚖️ 법적 근거로 본 도로 재비산먼지 관리

  •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8조: 측정·공개·조치 요청
  • 농도 200㎍/㎥ 초과 시 행정기관에 저감조치 요청
  • 측정 결과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고 환경부가 공식 공개

🌱 시민도 할 수 있는 미세먼지 줄이기

  • 공회전 줄이기
  • 세차 후 물기 닦기
  • 급가속·급정지 자제

💡 Q1. 도로 재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조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노면청소차, 물청소 장치, 도로 포장 개선, 분진 저감 도료 등이 있습니다.

💡 Q2. 농도가 200㎍/㎥를 넘으면 어떤 조치가 이뤄지나요?

환경부가 즉시 관련 기관에 조치를 요청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반드시 조치를 이행해야 합니다.

💡 Q3. 내 주변 도로의 오염 농도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도로 미세먼지 정보시스템(cleanroad.or.kr)에서 도로별 PM10 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로는 우리 일상의 일부입니다. 도로 위 미세먼지를 관리하는 것은 곧 우리의 건강을 지키는 일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안심인증 확인!(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 어린이집·유치원·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의무입니다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안내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할까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마시고, 바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어린이집, 유치원, 키즈카페 등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 제도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활동공간이란? 다음 시설이 해당됩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1~3학년)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키즈카페, 실내놀이터, 어린이학원, 실내수영장 등 ※ 해당 시설은 환경검사를 받고 결과를 지자체에 등록해야 합니다. 🧪 검사 항목 요약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벤젠, 톨루엔, 미세먼지(PM10, PM2.5), 이산화탄소 등 마감재 및 바닥재: 중금속(납, 카드뮴 등), 프탈레이트류 가소제 7종 놀이기구 및 장난감: 도료 중 금속, 플라스틱 장난감 내 가소제 함량 등 ※ 기준치를 초과하면 개선조치 → 재검사 → 결과보고 의무 가 있습니다. 📝 Q2. 새로 개설한 어린이집·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언제 하나요? 최초 검사 시점: 시설 개설 직후, 운영 전 에 실시해야 합니다. 검사 대상 항목: 실내공기질 + 마감재 및 놀이기구 등 시설 내 구성품 검사 기관: 환경부 인증 검사기관에 의뢰 (민간 검사기관) 제출 방법: 검사 완료 후 측정결과서를 시·군·구청에 제출 정기검사: 최초 검사 후 2~3년마다 정기적으로 재검사 필요 운영을 위한 인허가 절차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환경검사 결과’는 필수 첨부서류 로 간주됩니다. 🚨 검사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1차 위반 시: 개선명령 2차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가능 학부모 민원 시: 공개 요청 및 행정감사 대상이 될 수 있음 검사는...

층간소음 이렇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상담, 자가측정, 분쟁조정)

층간소음 이렇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윗집의 아이들 소리에 밤잠을 설치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환경부(한국환경공단)가 운영하는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를 중심으로 상담부터 측정, 추가 대처 방안까지 단계별 해결 절차를 알려드립니다. 1. 상담신청으로 시작하는 층간소음 해결 층간소음 문제 해결의 첫걸음은 ‘이웃사이센터’에 상담을 신청하는 것 입니다. 공식 사이트: floor.noiseinfo.or.kr 콜센터: 1661‑2642 (평일 09시~18시) 야간상담: 평일 18시~21시 (제주 제외) Self-해우소: 층간소음 교육 영상 제공 2024년 기준으로 연간 3만 3천 건 이상의 전화상담 이 접수될 정도로 많은 이웃들이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2. 측정신청·자가 측정으로 정확한 원인 파악 전화나 방문상담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소음 측정을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수음세대(피해자)가 신청 가능 측정은 최소 1시간 ~ 최대 24시간 진행 주말 측정 은 금~월 연속 측정 가능 자가 측정기 대여 도 가능합니다. 공동주택 관리주체가 신청 최대 6개월 무료 대여 실시간 참고용이며 법적 효력은 없음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웃과 객관적인 대화 를 나누기 쉽고, 중재 과정에서도 중요한 자료 로 쓰입니다. 3. 비공동주택과 분쟁조정까지 폭넓은 대응 다가구주택·오피스텔 등 비공동주택도 2025년부터 상담·측정 대상 에 포함됐습니다. 2025년: 수도권·광주 일부 지역 2026년: 전국 확대 예정 측정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법적 분쟁 조정 절차 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원회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 민사소송, 환경분쟁조정법, 공동주택관리법 활용 이처럼 객관적이고 단계적인 절차 를 통해 감정적인 갈등을 피하고 실질적인 해결로 이어갈 ...

우리집, 라돈 괜찮을까?

🏠 우리집은 라돈으로 부터 안전할까?  “라돈? 아직도 모르신다면 우리 집 실내공기를 점검할 때입니다.” 라돈은 무색·무취의 자연 방사성 물질로,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특히 겨울철, 환기가 어려운 지하·반지하 주택은 라돈 농도가 높아지기 쉽습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라돈 무료 측정 및 저감 지원 사업’ 을 운영하고 있어 누구나 신청만 하면 집 안의 라돈 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업 개요 목적: 라돈 위험으로부터 국민 건강 보호 기간: 2012년 ~ 현재 계속 주관기관: 환경부 수행기관: 한국환경공단 🏡 사업 대상 주택: 누리집(라돈안전 정보센터)에서 신청한 실내공간 (1,600가구) 마을회관 등: 라돈 고농도 지역의 경로당·회관 등 공공시설 (400개소) 💡 총 2,000개소에 무료 측정과 건강 컨설팅이 제공됩니다. 📋 사업 절차 요약 1차 측정 (자가 또는 방문) - 주택: 택배로 측정기 배송 후 자가 설치(90일 이상) - 마을회관 등: 공단에서 방문 측정 진행 결과보고서 제공 - 라돈 농도 수치와 건강 컨설팅 내용 포함 라돈 알람기 보급 (기준 초과 시) - 라돈 권고기준(148Bq/m³) 초과 시 알람기 무상 제공 저감시공 지원 (선정기준 충족 시) - 고농도 지역 중 선정 기준에 따라 시공 지원(100가구) 저감효과 재측정 및 종료 - 동일 방식으로 농도 비교 후 효과 분석 및 상담 종료 📦 무료 라돈 측정 신청 방법 라돈안전 정보센터 누리집 접속 상단 메뉴에서 “라돈 무료측정 신청” 클릭 주소, 연락처 등 입력 → 측정기 택배 수령 → 자가 설치 측정기 회수 후 결과 통보 및 필요 시 추가 조치 안내 📍 권고기준: 148Bq/m³ (약 4.0pCi/L) 이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