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 테슬라 모델Y 주니퍼 구매기

토양도 건강검진이 필요합니다(토양환경평가제도)

🏡 토양도 건강검진이 필요합니다 – 토양환경평가제도란?

토양환경평가제도


“집은 샀는데, 땅이 오염돼 있었다면?”

토양은 단순한 땅이 아닙니다. 우리 먹거리, 물, 공기까지 연결된 중요한 생명의 기반이죠. 하지만 산업화와 개발이 늘면서 눈에 보이지 않게 토양이 오염되는 사례도 많아졌습니다.

이런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토양환경평가제도’입니다.


✔️ 토양환경평가제도란?

토양환경평가는 토지 거래 시 해당 부지가 오염됐는지 사전에 확인하는 제도입니다.

2002년부터 시행 중이며,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2에 따라 운영됩니다.

오염된 토양은 인체 건강뿐 아니라 지하수와 주변 환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사전 확인은 필수입니다.


🧪 언제 토양환경평가를 해야 하나요?

다음과 같은 장소는 토양오염이 의심되므로 평가 대상이 됩니다.

  • 주유소, 저유소, 유해화학물질 저장소
  • 금속·전자·화학 공장, 중금속 취급 야적장
  • 폐광산, 철도 부지, 군부대, 소각장
  • 오래된 산업단지, 폐기물 매립장 등

토지 거래 전, 이런 부지들은 토양환경평가를 받아 오염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떤 절차로 진행되나요?

  1. 기초조사 – 서류 확인, 현장 조사, 이력 청취
  2. 개황조사 – 토양 시료 채취, 오염개연성 분석
  3. 정밀조사 – 오염 확정 시, 범위·농도·면적까지 정밀 측정

모든 평가는 환경부에 등록된 공식 평가기관을 통해 진행해야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공장 부지(10,000㎡ 기준) 평가 시 약 8,300만 원 정도가 소요되며, 부지 규모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평가를 통해 정화 책임 회피, 법적 분쟁 예방, 재산 보호가 가능하므로 비용 대비 효과는 매우 큽니다.


⚠️ 평가를 꼭 받아야 하는 이유는?

  • 건강 보호 – 오염된 토양은 중금속, 유기화합물 등으로 인체에 해를 끼침
  • 법적 책임 회피 – 사전 평가 시 향후 정화책임에서 면제될 수 있음
  • 재산 보호 – 토양 정화 비용 수억~수십억 원 발생 가능

📚 실제 사례로 본 중요성

  • 110억 원 정화비용 발생: 유류저장시설 오염 확인 후, 매도자와 계약 변경
  • 거래 철회 사례: 공장 인수 전 토양환경평가로 대규모 폐기물 확인
  • 은행도 책임: 부도난 기업의 부지 경락 후 오염처리 책임까지 떠안음

🏢 어디에 신청하나요?

전국에 약 50개 이상의 평가기관이 있으며, 한국환경공단에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한국환경공단 바로가기

▶ 환경부 홈페이지

▶ 토양환경평가기관 현황


🌱 마무리하며

“토지에도 건강검진이 필요합니다.”

토양환경평가제도는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내 건강과 재산, 미래 세대를 위한 실천입니다.

ecodessin은 앞으로도 여러분이 알면 이로운 환경정책을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안심인증 확인!(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 어린이집·유치원·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의무입니다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보건제도 안내 “우리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 환경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할까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마시고, 바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어린이집, 유치원, 키즈카페 등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 제도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활동공간이란? 다음 시설이 해당됩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1~3학년)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키즈카페, 실내놀이터, 어린이학원, 실내수영장 등 ※ 해당 시설은 환경검사를 받고 결과를 지자체에 등록해야 합니다. 🧪 검사 항목 요약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벤젠, 톨루엔, 미세먼지(PM10, PM2.5), 이산화탄소 등 마감재 및 바닥재: 중금속(납, 카드뮴 등), 프탈레이트류 가소제 7종 놀이기구 및 장난감: 도료 중 금속, 플라스틱 장난감 내 가소제 함량 등 ※ 기준치를 초과하면 개선조치 → 재검사 → 결과보고 의무 가 있습니다. 📝 Q2. 새로 개설한 어린이집·키즈카페, 환경검사는 언제 하나요? 최초 검사 시점: 시설 개설 직후, 운영 전 에 실시해야 합니다. 검사 대상 항목: 실내공기질 + 마감재 및 놀이기구 등 시설 내 구성품 검사 기관: 환경부 인증 검사기관에 의뢰 (민간 검사기관) 제출 방법: 검사 완료 후 측정결과서를 시·군·구청에 제출 정기검사: 최초 검사 후 2~3년마다 정기적으로 재검사 필요 운영을 위한 인허가 절차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환경검사 결과’는 필수 첨부서류 로 간주됩니다. 🚨 검사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1차 위반 시: 개선명령 2차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가능 학부모 민원 시: 공개 요청 및 행정감사 대상이 될 수 있음 검사는...

#1 테슬라 모델Y 주니퍼 구매기

드디어 테슬라 모델Y 구매할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  타던 차가 오래되기도 하였고...환경인으로서 경유차를 계속 타고 있다는게 양심에 걸리기도 하고 장거리에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전기차, 테슬라 모델Y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테슬라 구매 절차, 보조금 신청 등의 일련의 과정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구매계약" 테슬라 홈페이지에서 차량-ModelY-주문하기로 들어갑니다 가성비로 후륜구동(RWD),  Stealth Grey, All Black 인테리어,  오토파일럿 을 선택하면,   견적가 52,990,000원! 계약금 500만원을 결재하고 주문을 합니다! (사실 롱레인지 선택했다가 취소하고 다시 주문했다가...white 인테리어 했다가 취소하고 다시 주문....) "인도 임박" 3/4분기에 접어들고, 보조금이 고갈된 지역이 여기저기 나오면서, 테슬라에서 연락이 옵니다. 지자체 보조금을 못받게 되더라도, 국고 보조금을 수령하여 인도를 희망하는지 설문을 요청합니다.  빨리 받고 싶은 마음에 지자체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어도 받겠다고 응답을 하고 기다렸습니다. "인도 일정 안내(셀프예약)" 광명 딜리버리 센터에서 인도하는 것으로 선택하고 셀프예약을 했습니다. 이제 테슬라 어드바이저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

녹색건축 인증제도, 친환경이 자산이 되는 시대

녹색건축 인증제도(G-SEED)는 단순히 친환경이라는 이미지를 넘어, 집을 짓고자 하는 예비건축주에게 비용 절감, 건강한 주거환경, 장기적인 자산 가치 상승 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비건축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녹색건축 인증의 절차, 비용절감 효과, 그리고 주택 가치 향상 방안을 쉽게 설명합니다. 인증절차: 예비인증과 본인증 이해하기 녹색건축 인증은 크게 예비인증 → 본인증 의 두 단계로 진행됩니다. 예비인증은 설계도서 단계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건축주가 계획한 건축물이 인증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사전에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설계 단계에서 친환경 요소를 반영할 수 있어, 건축 후 수정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본인증은 실제 건축물의 시공 및 사용승인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즉, 건축물이 완공된 이후 실질적인 성능과 친환경성이 평가되어 최종 등급이 부여됩니다. 녹색건축 인증은 일반, 우수, 우수+, 최우수 의 네 단계로 나뉘며,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의무적으로 인증 을 받아야 합니다. 비주거용의 경우도 연면적 3,000㎡ 이상의 공공업무시설 은 반드시 우수(그린2등급) 이상을 취득해야 합니다. 즉, 예비건축주가 처음부터 인증 절차를 고려해 설계와 자재 선택을 진행하면, 불필요한 재시공이나 비용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비용절감 효과: 장기적으로 유리한 선택 많은 건축주들이 녹색건축 인증을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과정’으로 생각합니다. 실제로 초기 단계에서는 고효율 단열재, 태양광 패널, 친환경 자재 등을 활용하면서 건축비가 다소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유지비 절감 효과가 훨씬 큽니다. 예를 들어, 고효율 단열재와 창호를 설치하면 난방비와 냉방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LED 조명과 고효율 기기를 도입하면 전기료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절감 효과는 매달 발생하는 관리비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장기적으로 보면 건축비 증가분보다 ...